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멘토 양성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지원을 위한 교사 멘토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
구로 예술영재 멘토 교사로서의 핵심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
영재 지원을 위한 교사 멘토 양성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멘토 역량에 대한 정의와 개념 및 하위 요인들을 분석하고, 도출된 멘토
역량의 하위 요인들 중 공통된 요인들을 유목화하여 문항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은 다시 델파이(Delphi) 분석과 심층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수정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정된 문항으로 초·중·고등학교 현직교사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예술영재 멘토 교사
역량 진단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멘토양성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교사들의 학교급별, 성별, 교직경력별, 예술 관련 교과 전공 유무별,
예술 관련 전공 분야별,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 영재교육 경험교사 중 예술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
로 역량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변인에 따른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제어: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교사, 멘토, 역량
구로 예술영재 멘토 교사로서의 핵심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
영재 지원을 위한 교사 멘토 양성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멘토 역량에 대한 정의와 개념 및 하위 요인들을 분석하고, 도출된 멘토
역량의 하위 요인들 중 공통된 요인들을 유목화하여 문항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은 다시 델파이(Delphi) 분석과 심층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수정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정된 문항으로 초·중·고등학교 현직교사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예술영재 멘토 교사
역량 진단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멘토양성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교사들의 학교급별, 성별, 교직경력별, 예술 관련 교과 전공 유무별,
예술 관련 전공 분야별,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 영재교육 경험교사 중 예술 영재교육 경험 유무별
로 역량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변인에 따른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제어: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교사, 멘토, 역량
첨부파일
-
영재교육_31권_1호_129_155.pdf (1,004.5K)
2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46:02
- 이전글영재교육 분야의 학부모 대상 연구 동향 분석 21.04.13
- 다음글재능계발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생애주기별 과학 영재교육의 기여와 문제점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