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 분야의 학부모 대상 연구 동향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영재교육 분야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동향
을 살펴보고 이들 토대로 향후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학술연
구정보원(RISS)에서 ‘영재’ and ‘학부모’로 논문을 검색하여 국내의 학술지에 등재된 논문 119편
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발행년도, 연구방법, 자녀 변인을 수준과 영역, 연구주제의 발행수를 알아
보고 키워드 출현빈도, 동시출현성, 중심성을 살펴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진
흥종합계획 시기에 따라 연도별 학술논문 발행편수를 살펴보면 제1차에는 연평균 1.83편, 제2차
는 9.2편, 제3차는 9.4편, 제4차는 5편이 발행되어 시기에 따른 큰 편차를 보였다. 둘째, 자녀
정보를 바탕으로 볼 때 수준에 따라서는 초등이 83편, 중등이 49편으로 80% 이상이 초·중등에
편중되어 있고, 영역별로 과학 52편으로 가장 많으며, 예술 17편으로 영역 간 편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조사연구가 74편, 질적연구 41편, 개발연구
3편, 실험연구 1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로 살펴보면 학부모 문화가 89편으로
가장 많은 편수를 보였으며 학부모교육 및 프로그램, 학습환경으로서 학부모 특성이 각각 15편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동시출현성은 학부모-인식이 9회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어
인식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결중심성 상위키워드는 영재,
학부모, 인식, 연구 등으로 다른 연구와 함께 많이 수행되는 연구로 나타났으며 매개중심성 상위
의 키워드는 분석과 인식, 방안, 프로그램 순으로 확인되어 다른 연구와의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제어: 영재, 영재교육, 학부모, 학부모 연구 동향, 동향분석
을 살펴보고 이들 토대로 향후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학술연
구정보원(RISS)에서 ‘영재’ and ‘학부모’로 논문을 검색하여 국내의 학술지에 등재된 논문 119편
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발행년도, 연구방법, 자녀 변인을 수준과 영역, 연구주제의 발행수를 알아
보고 키워드 출현빈도, 동시출현성, 중심성을 살펴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진
흥종합계획 시기에 따라 연도별 학술논문 발행편수를 살펴보면 제1차에는 연평균 1.83편, 제2차
는 9.2편, 제3차는 9.4편, 제4차는 5편이 발행되어 시기에 따른 큰 편차를 보였다. 둘째, 자녀
정보를 바탕으로 볼 때 수준에 따라서는 초등이 83편, 중등이 49편으로 80% 이상이 초·중등에
편중되어 있고, 영역별로 과학 52편으로 가장 많으며, 예술 17편으로 영역 간 편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조사연구가 74편, 질적연구 41편, 개발연구
3편, 실험연구 1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로 살펴보면 학부모 문화가 89편으로
가장 많은 편수를 보였으며 학부모교육 및 프로그램, 학습환경으로서 학부모 특성이 각각 15편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동시출현성은 학부모-인식이 9회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어
인식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결중심성 상위키워드는 영재,
학부모, 인식, 연구 등으로 다른 연구와 함께 많이 수행되는 연구로 나타났으며 매개중심성 상위
의 키워드는 분석과 인식, 방안, 프로그램 순으로 확인되어 다른 연구와의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제어: 영재, 영재교육, 학부모, 학부모 연구 동향, 동향분석
첨부파일
-
영재교육_31권_1호_103_128.pdf (1.6M)
4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46:40
- 이전글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이 지식재산 활동 참여과정에서 경험한 촉진 및 저해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21.04.13
- 다음글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멘토 양성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