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이 지식재산 활동 참여과정에서 경험한 촉진 및 저해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의 지식재산 활동 촉진 및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993년에 출생한 1기생부터 2001년에 출생한 6기생까지 총 22명의 차세대
영재기업인교육원의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지식재산
활동에 대한 관심과 실제 활동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3개의 지식재산 활동
촉진 주제, 10개의 지식재산 활동 저해 요인 및 어려움 주제, 9개의 저해요인 및 어려움에 대한
대응 주제를 발견하였다. 또한, 지식재산에 대한 관심(높음-낮음)과 실제 지식재산 관련 활동에
참여한 정도(높고-낮음)에 따라 ‘지속적 성과 도출 유형’ 12명과 ‘활동중단 및 유보 유형’으로
10명을 분류하고, 두 유형별로 교육원 수료 후부터 대학 입학 시기, 대학 저학년 시기, 대학
고학년 시기, 졸업 후 사회 진출 시기 등 네 단계의 청년초기 발달과정에 따라 지식재산 활동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어려움), 그러한 어려움에 대한 대응이 어떠한 흐름으로 진행되는지를 분
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들의 지식재산 활동 촉진 및 저해요인
에 관한 결과는 청소년기 기업영재 육성사업의 정책적 성과가 청년기를 통과하는 차세대영재기
업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창출되기 위해서 청소년기-청년초기의 이행과정에서 재능 소실(talent
loss)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교육적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제어: 차세대영재기업인, 지식재산 활동, 청년기 발달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993년에 출생한 1기생부터 2001년에 출생한 6기생까지 총 22명의 차세대
영재기업인교육원의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지식재산
활동에 대한 관심과 실제 활동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3개의 지식재산 활동
촉진 주제, 10개의 지식재산 활동 저해 요인 및 어려움 주제, 9개의 저해요인 및 어려움에 대한
대응 주제를 발견하였다. 또한, 지식재산에 대한 관심(높음-낮음)과 실제 지식재산 관련 활동에
참여한 정도(높고-낮음)에 따라 ‘지속적 성과 도출 유형’ 12명과 ‘활동중단 및 유보 유형’으로
10명을 분류하고, 두 유형별로 교육원 수료 후부터 대학 입학 시기, 대학 저학년 시기, 대학
고학년 시기, 졸업 후 사회 진출 시기 등 네 단계의 청년초기 발달과정에 따라 지식재산 활동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어려움), 그러한 어려움에 대한 대응이 어떠한 흐름으로 진행되는지를 분
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들의 지식재산 활동 촉진 및 저해요인
에 관한 결과는 청소년기 기업영재 육성사업의 정책적 성과가 청년기를 통과하는 차세대영재기
업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창출되기 위해서 청소년기-청년초기의 이행과정에서 재능 소실(talent
loss)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교육적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제어: 차세대영재기업인, 지식재산 활동, 청년기 발달
첨부파일
-
영재교육_31권_1호_073_101.pdf (924.1K)
3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47:10
- 이전글영재학교 재학생의 영재학교 입학을 위한 사교육 경험 및 이에 대한 인식 21.04.13
- 다음글영재교육 분야의 학부모 대상 연구 동향 분석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