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적 영재성 요인에 근거한 초등학교 영재집단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다면적 영재성 요인에 근거한 초등학교 영재집단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활용하여 잠재적 영재집단을 추정하고 해당 영재집단의 영재성 수준이 영재집단으로서의 타당성을 가지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면적 영재성의 요소는 Renzulli의 세 고리 개념에 근거하여 학업성취, 창의성, 과제집착력으로 설정하였으며 다면적 영재성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영재집단을 추정하기 위해 전국 단위로 수집된 KEDI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 결과 다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 창의성, 과제집착력이 모두 높은 잠재적 영재 집단은 전체의 7.2%에 해당하였다. 다음으로 통계적으로 추정된 잠재적 영재집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영재교육대상자와 일반학생 집단에서 각각 잠재적 영재집단을 분류하고 해당 학생들의 영재성 수준과 영재교육 필요수준을 확인하였다. 영재교육대상자 집단의 46.8%, 일반학생 집단의 4.5%가 잠재적 영재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영재교육대상자 집단에서 잠재적 영재집단으로 분류된 91.7%에 대해 교사들은 상위 10% 이상의 영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였고, 일반학생 집단에서 잠재적 영재집단으로 분류된 학생의 80%에 대해 교사들은 우수한 수준의 영재성을 보이며 영재교육이 필요한 학생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주제어:다면적 영재성, 잠재적 영재집단,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잠재프로파일분석(LPA)
주제어:다면적 영재성, 잠재적 영재집단,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잠재프로파일분석(LPA)
첨부파일
-
영재교육_31권_2호_289_307.pdf (830.0K)
8회 다운로드 | DATE : 2021-07-15 11:23:08
- 이전글An Analysis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onal-Level Gifted Dancers 21.07.15
- 다음글과학 분야 비유 생성 사고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활동성 분석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