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의 양상 및 두 척도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영재학생 134명과 중학생 영재 124명, 총 25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검사와, 학교행복 검사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사회적지지 중 부모지지를 가장 높게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순이었다. 학교행복에 대해서는 친구관계와 학습의 즐거움, 자기효능감, 환경만족과 교사관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와 학교행복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는 영재학생들의 학교행복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2=.621). 사회적지지 검사 하위요인들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들이 더해질수록 학교행복에 대한 영향력이 더 커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학생들이 학교행복감을 더 높일 수 있는 제안들과 후속연구가 제시되었다.
주제어:영재, 사회적지지, 학교행복,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주제어:영재, 사회적지지, 학교행복,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2호_139_159.pdf (750.4K)
10회 다운로드 | DATE : 2020-07-13 10:54:14
- 이전글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창의성 측정연구 동향 탐색 20.07.13
- 다음글예비 영재교육 선도학교 운영 실태에 따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07.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