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들의 대학진학 이후의 경험 및 교육 요구 조사 : KAIST 총장장학생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대학진학 이후의 경험을 분석하여 과학영재들의 발달에 영향을 준 경험과 의미를 분석하고, 과학영재들이 대학진학 이후 필요로 하는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KAIST에 진학한 과학영재들 중 총장장학생으로 선발된 후 어느 정도의 대학 생활을 경험한 4학년 이상의 우수 과학영재 1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학진학 이후의 경험 및 경험들의 의미와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1:1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심층 면담 내용의 전사와 전사내용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분석 및 영재교육전문가와의 의견 교환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우수 과학영재들은 고등학교에서의 R&E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대학진학 이후에도 자연스럽게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우수 과학영재들은 신입생 시절부터 전공과목을 이수하면서, 복수전공 이수로 이어졌다. 한편, 우수 과학영재들은 지도교수(멘토), 동료(친구, 선․후배)로부터 인지적, 사회‧심리적 발달 및 안정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우수 과학영재들은 대학교에서 연구 및 진로 관련 프로그램이 확대되길 희망하였으며, 이공계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인문‧사회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길 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7명의 우수 과학영재들의 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대학생 과학영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만큼 과학영재들을 위한 대학 교육의 방향과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대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대학생)과학영재, 대학 생활(경험), 교육 요구
주제어:(대학생)과학영재, 대학 생활(경험), 교육 요구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_3호_223_247.pdf (1,009.3K)
6회 다운로드 | DATE : 2020-10-19 15:37:17
- 이전글경제적 소외영재와 일반영재의 영재학교 입학 전후의 학습경험 비교: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21.04.13
- 다음글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상황에서 촉진적 상호작용이 기업영재성 및 창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유정신모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10.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