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소외영재와 일반영재의 영재학교 입학 전후의 학습경험 비교: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이 연구에서는 소외영재와 일반영재가 영재학교 입학을 준비할 때의 학습경험과 영재학교 재학
중 학습경험을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영재학교를 졸업한 일반영재, 일반전형
소외영재, 사회통합전형 소외영재 각 4명씩 12명을 목적 표집하였고, 이들의 학습 경험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학교 입학 전 중학교
와 영재교육원에서의 학습경험, 그리고 자기주도적 학습경험은 유사하였으나, 입시를 위한 사교
육 경험에서는 소외영재와 일반영재의 차이가 나타났다. 소외영재는 사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향
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정보에 소외되고 정서적 불안을 겪었다. 영재학교 재학 중에는 소외영재
가 학습난이도와 속도가 부적합하여 학습 조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영재학교 교육과정을
쫓아가기 위한 사교육을 받기도 하였다. 반면 일반영재는 학습난이도와 속도가 적합하기 때문에
사교육의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소외영재가 입학 전 정보의 소외를 겪고, 입학 후 출발점이
다른 경기를 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소외영재, 영재학교, 학습경험, 사교육, 소외계층, 사회통합전형
중 학습경험을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영재학교를 졸업한 일반영재, 일반전형
소외영재, 사회통합전형 소외영재 각 4명씩 12명을 목적 표집하였고, 이들의 학습 경험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학교 입학 전 중학교
와 영재교육원에서의 학습경험, 그리고 자기주도적 학습경험은 유사하였으나, 입시를 위한 사교
육 경험에서는 소외영재와 일반영재의 차이가 나타났다. 소외영재는 사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향
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정보에 소외되고 정서적 불안을 겪었다. 영재학교 재학 중에는 소외영재
가 학습난이도와 속도가 부적합하여 학습 조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영재학교 교육과정을
쫓아가기 위한 사교육을 받기도 하였다. 반면 일반영재는 학습난이도와 속도가 적합하기 때문에
사교육의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소외영재가 입학 전 정보의 소외를 겪고, 입학 후 출발점이
다른 경기를 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소외영재, 영재학교, 학습경험, 사교육, 소외계층, 사회통합전형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_4호_665_687.pdf (850.0K)
2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38:12
- 이전글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영재성 행동척도의 타당화 연구 21.04.13
- 다음글과학영재들의 대학진학 이후의 경험 및 교육 요구 조사 : KAIST 총장장학생 중심으로 20.10.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