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영재성 행동척도의 타당화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현장에서 지각할 수 있도록 유아영재성 행동척도의 타당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와 강원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602명의 유아와 담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유아는 지적능력과 창의성 측정을 위한 검사를 수행하였
으며 담임교사들은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522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영재성 행동척도는 지적특성, 창의성,
동기특성, 리더십 4요인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Cronbach의 α 신뢰도 분석 결과 본
척도가 유아의 영재성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구조 모형 및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 조건을 만족하여 유아영재성
행동척도가 유아의 영재성을 측정하기에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가 현장에서
잠재된 유아의 영재성을 발굴하고 유아영재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영재, 유아영재, 영재척도, 유아교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와 강원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602명의 유아와 담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유아는 지적능력과 창의성 측정을 위한 검사를 수행하였
으며 담임교사들은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522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영재성 행동척도는 지적특성, 창의성,
동기특성, 리더십 4요인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Cronbach의 α 신뢰도 분석 결과 본
척도가 유아의 영재성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구조 모형 및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 조건을 만족하여 유아영재성
행동척도가 유아의 영재성을 측정하기에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가 현장에서
잠재된 유아의 영재성을 발굴하고 유아영재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영재, 유아영재, 영재척도, 유아교사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_4호_645_664.pdf (896.3K)
1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39:01
- 이전글교사변인에 따른 초등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수업에 대한 신념과 행동의지, 일관성 및 잠재적 행동실천 효과 차이 분석 21.04.13
- 다음글경제적 소외영재와 일반영재의 영재학교 입학 전후의 학습경험 비교: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