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관찰추천제 연구 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9-2018 논문을 중심으로 > [복사본] [복사본]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복사본] [복사본] 공지사항

교사관찰추천제 연구 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9-2018 논문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0-01-11 13:51

본문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2009~2018)의 국내 KCI 등재지에 게재된 ‘교사관찰 추천제’ 관한 연구논문 48편을 선정·분석하여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관찰추천제 관련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교사관찰추천제와 관련하여 효과성을 알아본 개별 연구의 결과들을 하나로 종합하고자 수량적 접근 방법인 메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메타분석 과정에 따라 분석이 가능한 연구논문의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메타분석 하였다.
첫째, 교사관찰추천을 위해 사용된 영재행동평정척도의 신뢰도(Cronbach α)가 0.73부터 0.95까지 모든 하위요인에서 0.60 이상으로 나타나 영재의 행동특성을 일관되게 측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관찰로 추천된 학생과 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된 학생 간의 동기적 특성과 리더십 특성의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표준화된 평균효과 크기(ESsm)를 구하였다. 그 결과 교사관찰로 추천된 학생과 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된 학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관찰추천으로 선발된 학생의 입학점수와 입학 후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점수 간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상관계수 효과 크기(ESr)를 구했다. 그 결과 융합영역을 제외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0.335(p<.001)로 중간의 효과 크기가 관찰되었다. 집단의 이질성은 I2가 6.02%로 작은 크기의 이질성을 보여주었으며 동질성 검증의 유의확률(p-value)이 0.10보다 큰 0.384이므로 개별연구 간 효과 크기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결과는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 있어 교사관찰추천제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주제어:교사관찰추천제, 영재판별, 영재선발, 효과크기, 메타분석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7
어제
382
최대
382
전체
1,48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