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우수 학생들의 과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발산적 사고과정에 대한 뇌영상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창의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발산적 사고과정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서 과학 내용에 대한 발산적 사고과제와 수렴적 사고과제를 수행할 때 뇌활동성을 분석하여 발산적 사고과정의 작동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재원생과 일반 중학교에서 과학 성적이 우수한 10명의 학생들이었다. 발산적 사고과제는 자연 현상에 대해서 가상의 상황을 제시하고 어떤 일들이 발생할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었으며 수렴적 사고과제는 하나의 답이 있는 과학 질문에 대해 답을 생각해 보는 것이었다. 분석결과 발산적 사고과제를 수행할 때에는 수렴적 사고과제를 수행할 때에 비해서 오른쪽과 왼쪽의 각이랑과 이에 인접한 측두엽의 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각이랑과 그 주변의 측두엽 영역은 시각, 공간지각, 청각, 체감각 등의 감각 정보의 흐름이 모이는 지점에 위치하며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는 데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점을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발산적 사고를 발휘할 때에는 수렴적 사고를 발휘할 때에 비해서 주어진 자극으로부터 다양한 차원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보다 활발히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제어:창의력, 발산적 사고, fMRI, 뇌활동성, 과학 영재
주제어:창의력, 발산적 사고, fMRI, 뇌활동성, 과학 영재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_1호_25_37.pdf (902.9K)
8회 다운로드 | DATE : 2020-04-14 17:24:36
- 이전글수학영재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20.04.14
- 다음글플립러닝 기반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계발 20.04.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