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학생과 중등영재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각 및 탄력성이 창의성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중학생의 창의성 및 동기 계발을 위한 가정환경과 탄력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중학생(n=96)과 일반학생(n=95)을 대상으로 복합가정 질문지(Rathunde, 1989; 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1), 탄력성 지수(Reivich & Shatté, 2002), 그리고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Renzulli et al., 2002) 중 창의성과 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교육을 받는 중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창의성과 동기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중등영재와 일반학생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각을 비교하였을 때, 중등영재는 가정환경의 조화 요인을 높게 인식한 반면 일반학생은 가정환경의 공감 요인을 높게 인식하였다. 영재성에 따른 탄력성 하위요인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중등영재가 일반학생보다 모든 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학생의 창의성과 동기 계발을 위한 가정환경과 탄력성의 영향을 영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때, 가정환경의 지각 중 조화 및 관여 그리고 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효능감과 정서이해가 일반학생의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에 비해, 중등영재의 경우는 탄력성의 도전 요인만이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일반학생의 동기에 대한 유의한 설명력은 가정환경의 조화 요인 그리고 탄력성의 요인 중 도전과 분석력에서 나타났다. 중등영재의 경우, 동기는 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효능감과 분석력 요인에서 유의한 설명력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 중등영재의 창의성과 동기 계발을 위한 가정환경의 중요성과 탄력성을 증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제어:창의성, 동기, 영재, 가정환경, 탄력성
주제어:창의성, 동기, 영재, 가정환경, 탄력성
첨부파일
-
영재교육_29권2호_145_164.pdf (796.8K)
2회 다운로드 | DATE : 2019-07-10 18:30:33
- 이전글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 분석 - 과흥분성과 지능을 중심으로 - 19.07.10
- 다음글젠더 유사성 가설(Gender Similarities Hypothesis), 과학영재에게도 적용되는가? 19.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