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 분석 - 과흥분성과 지능을 중심으로 -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정보사회의 주역인 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을 과흥분성과 지능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성별, 학교급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영재선발과 영재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관찰추천제로 추천된 1,040명의 학생과 최종 선발된 257명의 영재를 대상으로 Dabrowski의 과흥분성 검사와 Wechsler의 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관찰추천제를 통해 추천된 정보와 수학분야 학생 간 과흥분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최종 선발된 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과흥분성과 지능지수는 분야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교급별 비교 분석결과, 두 분야는 공통적으로 초등학교 영재와 중학교 영재의 지능지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과흥분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로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과흥분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정보영재의 경우 과흥분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지능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수학영재의 경우 성별에 따라 과흥분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지능지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상호작용 효과 분석결과 정보영재와 수학영재 모두 정서적 과흥분성에서 성별, 학교급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상호작용의 양상은 정반대로 나타났다.
주제어:지능정보사회, 정보영재, 수학영재, 과흥분성, 웩슬러 지능검사
주제어:지능정보사회, 정보영재, 수학영재, 과흥분성, 웩슬러 지능검사
첨부파일
-
영재교육_29권2호_165_189.pdf (1.0M)
9회 다운로드 | DATE : 2019-07-10 18:31:19
- 이전글영재의 정의적 특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3~2017 「영재교육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19.07.10
- 다음글일반학생과 중등영재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각 및 탄력성이 창의성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19.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