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 따른 예술영재교육의 성과평가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실시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목표와 5개 분야 17개 추진과제에 근거하여 예술분야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함으로써 현재 실행 중인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하에서의 예술영재교육의 정책적·교육적 실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의 통계자료, 예술영재교육 연구자료, 예술영재교육기관의 문서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제별로 총 33개 문항을 구성하여 전문가와 현장교원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외계층 대상 예술영재교육 기회 및 지원 확대, 교사·학부모 관찰·추천도구와 자기평가도구 타당화 등 선발 도구의 다양화, 예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구성·운영 다양화를 위한 창의·융합형, 인성·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양적 확대 등이 주요 성과로 나타났다. 반면, 선발방식의 다양화를 위한 제도 부족과 융합교육의 현장정착 미흡, 평가·컨설팅의 형식적 운영, 예술영재교육 담당 교원에 대한 보상체계 결여 또는 부족 등이 한계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술분야에서 국가 영재교육 정책의 현장 전달성 및 이해도·실행능력 제고, 정책의 현장 실행에 대한 질적 모니터링 강화, 예술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영재교육 정책의 유연한 실행, 담당교원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구조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주제어:예술영재교육, 영재교육 정책,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정책 평가
주제어:예술영재교육, 영재교육 정책,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정책 평가
첨부파일
-
영재교육_29권2호_213_237.pdf (875.1K)
4회 다운로드 | DATE : 2019-07-10 18:33:13
- 이전글과학고 브릿지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19.07.10
- 다음글영재의 정의적 특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3~2017 「영재교육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19.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