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고 브릿지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브릿지 프로그램은 과학고에 입학한 사회통합대상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2012년 도입 이후 운영 형태에 있어 여러 변화를 거쳐 왔다. 이 연구는 과학고의 브릿지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과학고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개선사항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20개 과학고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에 대한 과학고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먼저 브릿지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력부진대책 프로그램과 신입생 입학 전 교육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교사들은 향후 사회통합대상 학생들의 학력격차 해소를 위한 학력부진대책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브릿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사회통합대상 학생들의 노출방지 및 학교생활 부적응 방지 대책을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사회통합대상 학생들의 낙인효과 방지를 위해 평균적으로 일반 학생 67.8%, 사회통합대상 학생 32.2%의 프로그램 참여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브릿지 프로그램이 서류가 아닌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지원 대상을 선정하고, 예산 사용 유연화와 같은 프로그램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개선 우선순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주제어:과학고, 브릿지 프로그램, 교사, 운영 실태, 사회통합대상 학생
주제어:과학고, 브릿지 프로그램, 교사, 운영 실태, 사회통합대상 학생
첨부파일
-
영재교육_29권2호_239_257.pdf (834.8K)
4회 다운로드 | DATE : 2019-07-10 18:33:55
- 이전글하브루타 토론이 영재의 학습유형에 따라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차이 19.07.10
- 다음글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 따른 예술영재교육의 성과평가 19.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