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영재교육 정책분석: 1차~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중심으로 주요추진과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제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정책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각 차시별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서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주요정책들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주제어를 추출하고 선정하기 위하여 Python 3.6과 Konlpy를 이용하였고, UCINET6.66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차수에서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주제어는 영재교육이었으며, 운영, 프로그램 등이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상위 30개의 주제어를 살펴보면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나, 1차 진흥종합계획부터 4차까지 각 차시별로 그 시기에 주요하게 다룬 정책과 관련한 주제어가 차별화되어 제시되기도 하였다. 1차 계획에서 4차에 이르기까지 컴포넌트 값은 1로 모든 주제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빈도분석에서는 영재교육, 운영, 지원, 프로그램 등의 주제어가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에서는 영재, 교육, 영재교육 등의 주제어가 높게 나타났다. 영재교육 정책의 변천 과정과 지향점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된 본 연구는 향후 영재교육정책의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제어:영재교육, 영재교육 정책,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주제어:영재교육, 영재교육 정책,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첨부파일
-
영재교육_29권2호_301_325.pdf (2.0M)
16회 다운로드 | DATE : 2019-07-10 18:37:27
- 이전글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예측변인 규명 연구 19.10.15
- 다음글고도영재 및 학부모들이 겪은 교육의 문제점 및 교육요구 분석: (잠재적) 고도영재 사례를 중심으로 19.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