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예측변인 규명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창의성, 알고리즘적 사고, 협력,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그릿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A지역의 B, C영재교육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학영재의 창의성, 알고리즘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에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둘째, 수학과학영재의 협력에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셋째, 수학과학영재의 문제해결력에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그릿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넷째, 수학과학영재의 통합적 컴퓨팅 사고력에 수학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그릿 순으로 예측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학영재교육 운영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제어:컴퓨팅 사고력,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그릿
주제어:컴퓨팅 사고력,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그릿
- 이전글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액션러닝 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 19.10.15
- 다음글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영재교육 정책분석: 1차~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중심으로 19.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